서울 시각장애인 4만2천명…자립지원 이대로 괜찮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소연 작성일19-06-13 11:59 조회8,22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직종 한정돼있고 맞춤형 지원 부족
고령 시각장애인들 지원 사각지대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에 거주하는 시각장애인이 4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서인환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에 따르면 서울시에 사는 시각장애인 인구는 약 4만2000명이다. 이 가운데 75% 이상이 60대 이상이다.
이들의 자립을 위해 취직이 중요하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일자리는 한정돼 있다. 그간 시각장애인은 주로 안마사, 종교인,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교수, 음악인 등으로 일해왔으며 새로운 직종으로 바리스타가 떠오르고 있다.
다만 유럽에 비해서는 일자리가 부족하다. 영국이나 독일, 러시아에는 시각장애인 표준사업장이 많아 자동차 조립, 가구 제작, 농업 등에 종사할 수 있지만 서울에 거주하는 시각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직종은 한정돼 있다.
서 사무총장은 "1차 산업이든, 2차 산업이든 시각장애인을 근로자로 고용하는 기업은 거의 없다"며 "그렇다고 안마업만으로 살아가기에는 인구가 너무 많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시각장애인 활동지원 역시 취약하다는 평이다. 서 사무총장은 "장애인 안내법을 잘 알고 있고 시각장애를 이해하는 활동지원사는 그리 많지 않다. 시각장애인들이 전문 활동지원사와 잦은 충돌과 마찰을 경험하고 있다"며 "활동지원사 중에는 책을 읽어달라고 하면 제대로 잘 읽지 못하거나 지겨워 오래 지속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고 비판했다.
활동지원 외에도 시각장애인의 일상을 불편하게 만드는 문제점들은 다수 발견된다. 홍순봉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장은 ▲영화·드라마 등에서의 화면해설 미제공 ▲웹·모바일 접근성 부재 ▲키오스크 접근성 부재 ▲점자소식지와 활자소식지와의 정보제공 차이 ▲보행환경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고령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원도 부족하다. 홍 회장은 "고령 시각장애인은 비시각장애인이 누리는 경로당 이용은 커녕 집밖 출입조차 자유롭지 못하다. 이들의 욕구 충족 즉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집밖으로 나와 활동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고령 시각장애인에 대한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 등은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시각장애인들은 맞춤형 정보통신기기가 필요하다고 호소한다. 서 사무총장은 "시각장애는 감각장애고 정보장애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첨단 IT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며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는 시스템의 도입이나 각종 전자제품이나 약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음성 서비스, 본인확인 등이 간편한 블록체인 암호화 방식의 키오스크 등이 점진적으로 확충해 나갈 서비스"라고 제안했다.
이 같은 요청에 김혜련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은 "시각장애인들이 진정으로 자립할 수 있는 '그 날'이 오기까지 힘이 돼줘야 한다"며 "시각장애인 자립생활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시 정책과 예산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daero@newsis.com
고령 시각장애인들 지원 사각지대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시각장애인권리보장연대 시각장애인들이 21일 서울 종로구 효자 치안센터 앞에서 시각장애인의 장애특성과 필요를 반영한 서비스지원종합인정조사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2019.05.21. pak7130@newsis.com (사진=뉴시스DB) |
4일 서인환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에 따르면 서울시에 사는 시각장애인 인구는 약 4만2000명이다. 이 가운데 75% 이상이 60대 이상이다.
이들의 자립을 위해 취직이 중요하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일자리는 한정돼 있다. 그간 시각장애인은 주로 안마사, 종교인,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교수, 음악인 등으로 일해왔으며 새로운 직종으로 바리스타가 떠오르고 있다.
다만 유럽에 비해서는 일자리가 부족하다. 영국이나 독일, 러시아에는 시각장애인 표준사업장이 많아 자동차 조립, 가구 제작, 농업 등에 종사할 수 있지만 서울에 거주하는 시각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직종은 한정돼 있다.
서 사무총장은 "1차 산업이든, 2차 산업이든 시각장애인을 근로자로 고용하는 기업은 거의 없다"며 "그렇다고 안마업만으로 살아가기에는 인구가 너무 많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시각장애인 활동지원 역시 취약하다는 평이다. 서 사무총장은 "장애인 안내법을 잘 알고 있고 시각장애를 이해하는 활동지원사는 그리 많지 않다. 시각장애인들이 전문 활동지원사와 잦은 충돌과 마찰을 경험하고 있다"며 "활동지원사 중에는 책을 읽어달라고 하면 제대로 잘 읽지 못하거나 지겨워 오래 지속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고 비판했다.
활동지원 외에도 시각장애인의 일상을 불편하게 만드는 문제점들은 다수 발견된다. 홍순봉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장은 ▲영화·드라마 등에서의 화면해설 미제공 ▲웹·모바일 접근성 부재 ▲키오스크 접근성 부재 ▲점자소식지와 활자소식지와의 정보제공 차이 ▲보행환경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고령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원도 부족하다. 홍 회장은 "고령 시각장애인은 비시각장애인이 누리는 경로당 이용은 커녕 집밖 출입조차 자유롭지 못하다. 이들의 욕구 충족 즉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집밖으로 나와 활동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고령 시각장애인에 대한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 등은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시각장애인들은 맞춤형 정보통신기기가 필요하다고 호소한다. 서 사무총장은 "시각장애는 감각장애고 정보장애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첨단 IT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며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는 시스템의 도입이나 각종 전자제품이나 약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음성 서비스, 본인확인 등이 간편한 블록체인 암호화 방식의 키오스크 등이 점진적으로 확충해 나갈 서비스"라고 제안했다.
이 같은 요청에 김혜련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은 "시각장애인들이 진정으로 자립할 수 있는 '그 날'이 오기까지 힘이 돼줘야 한다"며 "시각장애인 자립생활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시 정책과 예산에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daero@newsis.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